Archive

 

  • Grand Prize & Honorable Mention 5. 꿈의 집

    2022.05.04

     

    Grand Prize & Honorable Mention 5.

    꿈의 집(House of Dreams)

     

    Group Name: Insitu Project (Kuo Jze Yi, Peter Hasdell), Zhoushan Community Group (Liang Jun) and Ku Hok Bun

    City: Dengfeng, China

    Representative Designer: Peter Hasdell

    Website: insitu-project.com

     

    1,000개의 스토리, 100명의 메이커

     

    ‘꿈의 집’은 동굴에서 자란 마을 어르신들의 집단적인 추억을 상징하는 이름입니다. 프로젝트의 장소는 중국 허난성 저우산 마을에 버려진 동굴 거주지였고 이곳에 지역 교육 훈련 센터를 만들었습니다. 이 프로젝트에는 다섯 가지 목표가 있었습니다.

     

    첫째, 지역 사회가 주도하는 문화적 기획 과정을 통해 지역 활성화를 촉진하고 이 과정에서 전통과 가치의 회복과 혁신을 이루는 것입니다. 둘째, 가급적 다양한 방법으로 동굴과 공간을 활성화하는 것입니다. 셋째, 가정 폐기물과 건설 폐기물을 재활용해 순환적인 물질 경제를 촉진하고, 노인들의 폐자재 사용 기술력을 향상시키고 자재 비용을 최소화하는 것입니다. 넷째, 원래 동굴이 지닌 환경적인 측면을 강화하는 것입니다. 다섯째, 유연한 프로그램을 실현하고 변화하는 욕구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만드는 것입니다.

     

    먼저 공간에 대해 말씀드리면 19개의 동굴을 개조해서 객실로 만들고 3개의 편의시설 구역을 디자인하고 시공했으며, 공유 주방과 다이닝홀, 전시 공간도 디자인하고 시공했습니다. 야외 마당 3개의 조경 작업을 하고, 옹벽을 쌓고 에코 오솔길이라 부르는 마을 상부로 이어지는 새로운 진입로를 구축하고, 새로운 입구에는 에코월을 만들었습니다. 에코 정원에는 오수 정화조에서 처리한 물을 공급합니다.

     

    지역 사회에서 회복 탄력성을 구축하였던 과정을 말씀드리자면, 이 프로젝트에는 3명의 협력자가 있습니다. 저우산 커뮤니티 그룹은 클라이언트이자 공동 디자이너, 메이커로 참여했습니다. 리앙쥔이 이끄는 이 그룹은 2003년부터 지역 사회 발전에 있어 노인, 청년, 성평등, 사회 환경 정의 구현 등을 포함한 통합적인 접근을 하고 있습니다. 인시튜 프로젝트는 건축 디자인 계획 수립, 전체적인 레이아웃, 지역사회 참여 디자인, 시공 과정을 담당했습니다. 그리고 홍콩 이공대학교 응용사회과학부의 구학분 박사가 지역 개발에 있어 중요한 연대 경제에 대한 지식과 응용방법론을 알려주었습니다. 이들과의 협업을 통해 통합된 지속 가능 공동체, 환경, 경제 발전을 위한 순환 경제의 원칙, 독특한 참여형 디자인과 시공 방식을 개발할 수 있었습니다. 참여형 디자인 과정은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통합했는데요. 하드웨어는 건축과 공간 개발, 그리고 물질 경제, 소프트웨어는 지역 사회 내 단체, 주민 교육 훈련과 참여 역량, 그리고 디자인과 시공 능력을 말합니다.

     

    이러한 참여형 과정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낼 수 있었습니다. 일단 건설과 가정 폐기물을 사용해 공사비를 최소화했고, 재활용 비율을 높이고 매립 폐기물을 감소시켰습니다. 100여 명의 마을 주민이 시공 과정에 참여해 마을 주민의 스토리나 디테일 등이 건축물 표면에 구현되게 했습니다. 참여형 디자인은 마을 공동체의 자부심과 결속력을 향상시키고 마을의 역량과 회복 탄력성을 제고하는 효과를 가져왔습니다. 폐기물 수집과 실험, 도로 포장과 건설 등에 관한 교육 워크숍은 마을 주민과 건설업자가 재활용 건축 자재로 작업을 할 수 있게 도와주었습니다. 초기에는 저항이 있었지만 나중에는 워크숍을 통해 훌륭하고 독창적인 방식이 도출되었습니다. 100여 명의 마을 주민과 함께 마당을 포장했는데, ‘1,000개의 디테일, 100명의 메이커’라는 기조 하에 이러한 집단 참여가 가능할 수 있었습니다.

     

     

    참여형 디자인을 통한 지역 사회 활성화와 새로운 가치 창출

     

    세 번째, 기술과 재료의 한계가 있었지만 유연한 변화가 가능한 개방적 참여형 디자인 과정을 개발했습니다. 또한 건설 폐기물과 가정 폐기물의 사용에 대한 의사 결정은 집단 차원에서 이루어졌습니다. 건설 경험이 없는 마을 어르신들이 참여했기 때문에 교육 워크숍을 진행했는데요. 그 결과 저희만의 고유한 참여형 시공 과정이 탄생했습니다. 벽면과 표면을 건설 폐기물과 가정 폐기물을 재활용해 만드는 과정에서 건축 기술보다는 지역 주민들이 내놓은 솔루션을 적용했습니다. 현장에서는 기본 계획만 제시하고 기술적인 도면은 거의 제공하지 않았습니다. 디자인은 논의를 통해 상향식으로 모든 결정이 이뤄졌습니다. 그리고 지역 내 폐기물 자원 탐구를 통해 새로운 집단적 가치를 창출하고 지역 사회를 결속시켰습니다. 기존에 폐기물을 매립지에 묻기만 했던 지역 주민들의 폐기물 재사용에 대한 이해도를 높였습니다. 물질 경제를 재활용의 순환 경제로 변환시킨 결과 지역 사회 내 자부심이 높아지고 주민들의 건설 기술력이 강화되고 폐기물이 감소되었습니다. 이를 실제로 만든 사람들의 창의적인 혁신, 즉, ‘1,000개의 디테일과 스토리’로 건축물이 구성될 수 있게 했습니다.

     

    폐자재 사용량은 약 40%였으며 나머지 60%는 새 자재였습니다. 마을 주민의 작업 기여도, 즉, 인적 자본과 기술 습득에 대해서는 추후 평가가 진행될 예정입니다. 폐자재 사용은 노동집약적이고 시공 기간은 더 오래 걸리지만 지역 사회의 참여를 이끌어내는 효과가 있습니다. 이 과정을 통해 센터에 다양한 공간이 조성되었습니다. 마을의 입구인 에코월은 건설 폐기물과 가정 폐기물을 활용한 시공 기법의 상징물입니다. 상당수의 재료를 마을 주민이 특별 기증했습니다. 건설 폐기물의 수거 장소를 표시한 지도가 바로 옆 담벼락에 있습니다. 주민들은 건설 현장과 철거 현장에서 자재를 수집하고 마을 밖에서도 자재를 수집했습니다. 마을 상부로 이어지는 에코 오솔길을 따라 식물을 심는 작업도 진행되고 있습니다.

     

    네 번째, 변화 촉진에 있어서 디자이너의 역할을 말씀드리겠습니다. 전체 프로젝트는 다음과 같은 과정으로 진행되었습니다. 2003년에서 2018년까지는 노인층과 함께하는 소규모 공동체 이니셔티브를 추진했습니다. 리앙쥔이 이니셔티브를 이끌었고요. 2018 – 2021년에는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 개발을 통합하여 ‘꿈의 집’을 구현했습니다. 현재는 세 번째 단계가 진행 중입니다. 2022년부터 그 이후에는 종합적인 문화 기획을 통해 보다 광범위하게 저우산 마을의 교육과 문화 정체성을 수립해 친환경 건축 연구 시설을 구축하고, 일련의 이니셔티브를 진행해 외부 마을과의 협업과 학습을 가능하게 할 계획입니다. 이 프로젝트는 소규모 이니셔티브에서 지역 프로젝트로 발전했습니다. 그리고 현재 지역에서 가장 유명한 프로젝트로 탈바꿈하고 있습니다.

     

    디자인에 있어서 어려움이 있었다면 참여형 과정이었는데요. 지속 가능성과 순환 경제 구현을 위해서는 새로운 방식으로 디자인과 건축을 진행해야 했습니다. ‘꿈의 집’은 디자이너의 추진력, 유연한 프레임워크를 개발하고 새로운 사고를 할 수 있는 능력이 어떻게 지역 사회의 창의성을 활성화하고 역량을 강화하고 새로운 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지를 보여줍니다. 이 프로젝트는 디자인 오브제적 접근보다는 하나의 과정이자 관계 기반의 접근 방식을 보여줍니다. 이 프로젝트의 과정은 현재 하나의 방법론으로 만들어지고 있으며 2년 안에 테스트가 진행되고 관련 책이 출간될 예정입니다. ‘꿈의 집’은 다양한 기여자가 참여한 복합적인 프로젝트로 단 1명의 디자이너가 단독으로 진행한 것이 아닌 공동으로 디자인한 프로젝트입니다.